목록오늘의 재테크/경제적 자유로 가는 길 (16)
오늘이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sKGt/btqMknihDgi/4t6EUGBnjFVP5mFagz3kS0/img.png)
부재 : 불안한 미래 당신의 선택은.. 나의 현재는 과거 나의 선택이 결과이고 언제나 선택의 순간에 놓여있으며 나의 미래는 현재 나의 선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군 입니다.★ 저는 평범한 10여년차 직장인입니다. 과거의 저는 열심히 일을 했지만 막상 이루어 놓은 것도 없고 주중엔 금요일만 기다렸고 일요일에 했던 '개그콘서트'가 끝나면 세상이 끝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주말은 왜 이리 짧은 것인지...)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그저 하루하루를 살아갔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될 미래의 나의 노년이 불안했고, 10년 이상 직장생활을 해보신 대부분은 아시겠지만 나는 언제까지 일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고 그 와중에 꽤 많은 직장 사춘기가 왔었습니다. 그랬던 제가 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QBrZ/btqxkVMQIdf/BOmSnwqeWy1JchjvLSQUzK/img.png)
2019년 8월 6일 2016년 2월 17일(1,881.03) 이후 약 3년 6개월 만에 코스피가 1,900.36으로 출발해 장중 한때는 1,891.81까지 하락했습니다. 주가지수가 2018년 1월 최고치 대비해서 25% 가 하락했습니다. 이 와중에 신라젠은 임상실험 조기종료로 3일째 하한가를 맞았습니다. 미중 무역분쟁 한일 무역분쟁 원-달러 환율 1200원 이상 급등 위안화 환율 7위안을 뚫어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북한 미사일 발사 이란 혁명수비대 이라크 선박 나포 거의 3차 세계대전을 겪고 있는 느낌입니다. 이럴 때 투자의 적기라니 무슨 말을 하고 있나 싶으실 것 같습니다. 물론 저도 마이너스 구간입니다. 다만 좀 더 버틸 수 있는 힘을 받게 된 것이 안전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어 손실이 완화되었다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6cIT/btqw85208vQ/bjD4grk01HiAa3Hlp5XAY1/img.jpg)
지난 글에서 주식투자의 장점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여전히 주식은 무서우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럼 하지 마세요!!! 주식하면 잃게 되는 이유가 주변에서 '이거 사고 ㅇㅇㅇ 되면 몇 배 간다더라' 이런 얘기를 듣고 그 회사에 대해 직접 공부하고 알아보지 않고 무리하게(빚까지 져서) 투자해서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뉴스에서 코스피가 연일 상한가를 치고 투자자들이 이익을 많이 봤다 이럴 때 매수를 합니다. 그리고 내 계좌에서 5% 10% 20% 빠지면 무서워서 팔게 되죠. 지난 글에서 봤던 BLASH와 정반대로 하기 때문입니다. 정말 이해가 되지 않는 행동인데 저도 사회 초년생 일 때 은행에 가서 편드 권유를 받았을 때 수익이 나고 있는 펀드에만 관심이 보이지, 마이너스가 나고 있는 펀드를 볼 생각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dffa/btqw2mesUxn/4D6tAHfPG3kdQMdmI3Wn11/img.png)
투자자 들은 각자의 원칙이나 스타일이 있습니다. 원칙이나 스타일을 찾기 이전에 생각해봐야 할 것이 당연하고 기본이 되는 원리는 바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것입니다. 영어로 'Buy low and Sell high'인데 줄여서 'BLASH'라고 합니다. 투자의 기본 원리는 단순합니다. 싸게 산 다음에 비싸게 팔면 이익을 보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투기와 투자에 대한 얘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사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나의 행동이 투자냐 투기냐를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거나 비싸게 사서 더 비싸게 팔면 이득인 것입니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이 돈 버는 것을 보면 배가 아파합니다. 저 사람은 무슨 운이 따르길래 저렇게 돈을 벌었냐.. 나는 왜 이럴까.. 한탄만 하며 세월이 흘러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QJMU/btqwYHpbbv8/mSg7ht5mTGKD11h4I0K4s1/img.png)
지난 글에서 내 집 마련이 어려우니 연금저축펀드를 가입하라는 이야기로 들리셨을 거 같습니다. 내 집 마련을 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닙니다. 물론 기초적인 자본이 있으신 분들은 목 좋은 곳에 내 집 마련을 하는 게 좋습니다. 다만 내 집 한 채는 현금흐름이 발생하지 않고, 추후 미확정된 시세차익만을 믿어야 한다는 점에서 불안감이 있는 것입니다. 언제 은퇴를 할지 모르고 국민연금만으로는 어려우니 내 집 한채만 믿지 말고 최근 정부에서 지원을 많이 해주는 연금저축(펀드)을 해서 수익률도 올리고 현금흐름도 발생시키면 좋겠다는 얘기였습니다. 그럼 이번 글에서는 내 집 마련이 당장 어려운 분들을 위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두 번째 글에서 소개해드린 데로 각자 자산 노트를 작성해보셨을 것입니다. 자산이 적고 금융지식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RoJU/btqwZkzRBK0/W9hD7U3YqIqEBRxaG1JKlK/img.png)
지난 글에서 보았듯이 수도권에서 5억짜리 집을 마련하려면 일단 수중에 1억 5천만 원이 있어야 하고, 3억 5천만 원을 빌려서 월 167만 원을 30년 동안 갚아 나가야 합니다. 그러면 어느 정도 노후 준비가 될 것이라고 생각은 됩니다. 문제는 무엇일까요? 1억 5천을 모으기 위해서는 월 100만 원씩 모아도 11년 5개월이 걸리게 됩니다. (고소득이거나 맞벌이를 해서 200만 원씩 모으면 6년, 300만 원씩 모으면 4년 1개월이 걸리긴 합니다. 부럽네요...) 28살에 취업을 해서 1억 5천만 원을 모으면 40입니다. 65세까지 일을 한다고 해도 25년밖에 안 남았습니다. 25년간 3억 5천만 원을 갚으려면 월 185만 원 20년간 3억 5천만 원을 갚으려면 월 212만 원씩 갚아가야 합니다. 일반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Ijkw/btqwP79tuYY/PK8WFUBAUVzcdYfCleAZOK/img.png)
지난 글에서 최저생계비와 노후 준비를 위해 필요한 금액을 알아봤습니다. 요약해보면 2019년 3인 가족 기준 최저 생계비는 226만 원입니다. 국민연금을 30년 동안 1억 2천만 원 정도 납부하면 65세 이후 현재가치 기준 100만 원 수령이 가능합니다. 현재 가격 기준 5억 원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면 주택연금으로 65세 이후 현재가치 기준 120만 원수령이 가능합니다. 만 64세까지 일을 해야 하지만 생계유지가 가능합니다. 노후 준비 끝입니다.. ㅎㅎ 실제로 저렇게 준비하는 분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퇴직연금까지 고려해보면 꽤 괜찮은 노후 준비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문제는 무엇일까요? 지금의 2, 30 대는 치솟는 집값을 보면서 많은 좌절을 느끼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삼포세대로 시작했다가 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0379/btqvI5D4gU0/VuB4Im5hcu6MUqwdGP2V0K/img.png)
2017년 하반기 우리나라 아니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군 것이 있었죠. 바로 비트코인입니다. 이렇듯 90배 수익까지는 아니더라도 주변에 2~3배 버신 분들 많이 보셨을 겁니다. - 이 후 잃지 않고 수익 실현하신 분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저는 확신이 안 가는 자산(?)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안 할 예정이고, 큰 관심이 없긴 합니다. - 요새 페이스북, 삼성전자, 스타벅스 등 기업들이 가상화폐 도입을 하고, 미중 무역분쟁으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에 따라 1년 만에 다시 1천만 원대를 돌파했다고는 합니다. - 최고점에 물리신 분들은 1년 5개월 동안 60% 손실 중이겠네요... 비트코인은.. 남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일단 넘어가 봅시다. 그렇다면 2018년 작년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 까요?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