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삶../재테크 (16)
오늘이군
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EPS) = 주식가격 / (순이익 / 발행주식수) = (주식가격 * 발행주식수) / 순이익주식가격 800원 주당 80원의 순익 > PER : 800 / 80 = 10주식수 1억주, 주식가격 800원, 순이익 80억 > PER : (800 * 1억) / 80억 = 10* 순이익이 10번 나면 이 회사를 통채로 살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 낮을 수록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 과거 이익 기준이므로 추정 PER 을 같이 봐야 합니다. ROA (Return On Assets) 총자산수익률자산 10억 창업 매년 1억 수익 = 총자산의 10% 수익 ROE (Return On Equity) 자본수익률자산 10억 창업 (자본..
적립식투자는 이전글을 확인하시면 됩니다.요즘 생각해 보면 적립식 & 분산투자를 하면 저금리시대/고인플레이션시대의 위험을 이겨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분산투자를 하지 않으면 작전세력 같은 것에 휘말리거나, 아무리 회사가 좋아도 갑자기 문제가 생깁니다.예를 들어 ELS 라는 상품이 있습니다. KNOCK-IN 비율 (보통 50% 전후로 설정이 되어 있고) 보다 주가가 하락하면 크게 손실을 보는 구조이며, 조기상환 조건 (85~90% 이고 점점 내려감) 이 충족하면 정해진 이율(5~10%) 을 돌려주는 상품입니다.특히, 종목형 ELS가 위험한 것이 예시로 되어있는 大 아마존 주식도 KNOCK-IN 이 일어나서 손실이 되거나, 일부 작전주의 경우 마감전에 급락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대상 주식이 한..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이 방법은 공포에 흔들리지 않는 상당한 인내심이 요구가 되며 3년에서 5년 정도의 여유자금으로 해야 하는 것입니다. (2년 이내 써야 하는 자금이면 적금이 답입니다.) 투자를 할 때는 모두 바닥에서 사고 상투에서 팔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워런버핏 형님(?) 도 어디가 바닥이고 어디가 상투인지 모른다고 하죠?그럼 어떻게 해야하나 생각해봅시다. 자신이 관심이 가는 상품을 선정합니다. 그 상품의 특성에 대해 공부하고, 시세(저점과 고점)를 파악합니다.그리고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팔면 좋겠죠?그런데 그 저점이 내가 생각한 저점이 아니라 밑으로 내려가는 중이었다면...? 많이 버텨야 합니다. 하지만 버티다 종이(휴지)조각이 되는 얘기도 많이 들어보셨죠?그만큼 상품을 잘 선택하셔야 하는..
적금 4% 예금 3% 어떤게 효율적일까요?당연히 4% 이율인 적금이 좋아보이겠지만, 계산을 해보면 예금이 더 효율이 좋습니다. 은행입장에서 처음부터 목돈을 맡기면 자신들이 운용을 할 수가 있으니 유리하게 적용을 해주는 것입니다.아시는 분은 다 아시는 비밀은 적금은 달마다 적립한 모든 금액을 4% 의 이자를 주지 않습니다. 첫 달 낸 것만 4% 의 이율을 주고 한 달이 지나면 11개월의 이자 두 달이 지나면 10개월의 이자를 주게 됩니다.1,200 만원을 가지고 운용을 한다고 생각해봅시다.적금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예금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 부동산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쇼킹부동산 젋은부자마을 - 유비 TV 부동산분석왕 TV 돌디 # 주식 lovefund이성수 Jaons Yeo알머리 제이슨 자본주의 공략집-오박사TV Julius Chun 소수몽키SOSUMONKEY TV미국감자 JCTV 빌리온 할 수 있다! 알고 투자 수미숨TV 주주지혜 존리라이프스타일주식 전업투자자와시즈 인베스팅닷컴 미국 주식에 미치다TV # 금융 슈카월드 피셔인베스트 오상열 Oh Sang Ryul 시장을 읽는 남자 신사임당 # 개발 우아한Tech # 동화 Korean Fairy Tales # 먹방/쿡방 tzuyang즈양 야식이 요리왕비룡 Korean Food Cooking
# 환율환율이란 한나라의 화폐와 외국 화폐와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대부분 원/달러환율을 얘기 합니다. 즉, 1달러당 몇 원의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표기한 그래프를 많이 보게 됩니다.# 기축통화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전에 기축통화에 대해 먼저 아셔야 합니다. 기축통화란 금과 더불어 국제간 결제나 금융거래에서 통용되는 통화를 가리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달러가 이러한 기축 통화입니다. 출처 : ChosunBiz # 환율과 경제환율이 오르면 수출회사 싼 가격에 제품을 수출 할 수 있어 유리 수입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을 비싸게 수입해야 하므로 불리 해외직구 동일한 외국제품을 비싸게 사야하므로 부담 해외여행 같은 돈으로 달러를 조금밖에 못 바꾸므로 부담 물가 물가가 오릅니다. 환율이 내리면 수출..
오늘 남북정상회담이 있었죠? 일각에서는 남북이 경제 연합을 하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 할 수 있고, 중국도 앞지를 수 있다는 얘기도 있는 만큼 기대도 큽니다. 통일은 둘째 치더라도 이런 형태로 기업도 살리고, 요새와 같은 부동산 정책으로 부동산 투기도 없애서 서민도 집을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오늘은 재테크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어르신들은 돈 모으면 은행에 넣으라고 하셨죠? (그 때는 금리가 10%가 넘었으니까요.) 지금 은행에 넣으면 어떻게 되는지 보겠습니다.위의 표를 보듯이 예금/적금은 물가상승률을 따라 갈 수 가 없습니다.게다가 예금/적금은 단리로 올라가지만 물가는 복리로 올라갑니다. 요새 카카오뱅크를 비롯해서 은행에서 자동으로..
가계부채의 위험2018년 6월 '금융안정보고서' 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가계부채 총액 : 1468조 부채가구를 1100만으로 보면 가구 당 1.3 억의 빚을 지고 있는 셈입니다.GDP 대비 가계부채는 미국 79%, 일본 57%, 중국 44%, OECD평균 70% 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94.8%에 달합니다.우리나라가 외환보유액은 4000억 달러로 취약국에서 벗어나지만 부동산 거품과 가계부채는 심각한 경제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왜 이렇게 까지 두었을까?정치적인 문제를 걷어내더라도 경제가 어려우면 한국은행은 금리를 내려서 대출을 늘립니다. (97년 IMF, 2008년 리먼사태 여파)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을 많이 받으므로 통화량이 증가해서 물가가 올라갑니다. (인플레이션) 그 중 부동산은 안정적인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