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군
유상증자 무상증자 어떤게 나쁜거에요? 본문
유상증자는 대부분 나쁜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지인이 주식토론방의 댓글을 공유해주었는데,
재미를 주려고 했는지 시메이펑 할머니의 짤을 가져와서 현재 상황을 표현해주셨는데
글쓴이의 아바타 아래에 주주라는 스티커를 보고 안타까운 느낌이 들었습니다.
뉴스를 보다보면 회사가 유상증자를 발표해서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유상증자나 무상증자를 왜 하는지
뭐가 다르고 어떤 걸 조심해야 하는지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성장하는 기업은 공장이나 서버를 늘려야 하고, 사람을 계속 뽑아야 합니다.
또한 광고비같은 판매관리비용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돈이 계속 필요하게 됩니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대출이나
회사명의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조달하게 되면,
해당 금액 만큼 기업재무재표에 부채로 잡히기 떄문에
기업신용평가나 이자문제 등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업은
증자, 즉 자본을 늘리는 선택을 하게 됩니다.
증자에는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있는데,
유상증자는 주식을 더 발행해서
시중에 유통 시키는 것입니다.
주식의 수가 더 늘어나기 때문에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전체주식수 | 주주A | 지분율 | |
증자 전 | 100 | 10 | 10% |
증자 후 (100주) | 200 | 10 | 5% |
예를들어 주주A 가 회사 주식이 10주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증자 전에 전체 주식이 100주 라고 한다면 주주A는 100주 중에 10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사의 10% 를 소유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회사가 100주인 상태에서 추가로 100주를 더 발행하게 된다면,
주주A는 그대로 10주를 가지고 있는데 200주 중에 10주이기 때문에
지분율이 5%로 감소하게 됩니다.
전체주식수 | 시가총액 | 1주 가격 | |
증자 전 | 100 | 200억 | 2억 |
증자 후 (100주) | 200 | 200억 | 1억 |
또한 회사 전체의 시가총액이 200억 이라고 예를 들면
증자를 한다고 회사의 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주식의 수가 2배로 늘어났기 때문에
1주당 가격은 당연히 50% 로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럼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무상증자는 회사에 있는 돈(이익잉여금)을 가지고 주식을 더 발행하기 때문에
배당을 현금 대신 주식으로 준다고 보면 됩니다.
이익잉여금으로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는 좋다고 볼 수 있고,
보통 스타트업에서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주식발행초과금)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스타트업 초기 멤버들은 액면가 근처에서 보유하고 있는데
투자 단계가 올라 갈 수록 금액이 커져서 발행되기 때문에 자기 자산의 가치가 올라 갈 수 있습니다.
결론은 유상증자를 할만한 기업을 조심해야 하지만,
유상증자가 꼭 나쁜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대기업에게 투자받는 형식(제3자배정)으로 진행이 되면
주식 수는 늘어나지만 투자금을 추가로 받는 형태이므로 전체 자산이 늘어나는 형태인 좋은 경우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상증자의 경우
회사에 돈이 부족한 것으로 비치기 때문에 주가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회사의 유상증자의 목적을 잘 살펴보시고
테슬라처럼 미래가 있어보이면 계속 보유하시고
미래가 없어보인다면 바로 매도 하시고
저번에 살펴봤던 애플 처럼 자사주 매입을 해서
전체주식을 줄여주는 회사에 투자하시는 게 마음 편한 투자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당장 미국주식을 투자해야 하는 이유 (내가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이유) 4:45
그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재테크 > mindset - 합리적인 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QQQ 레버리지 투자로 빠른 시간 안에 돈 버는 방법 (0) | 2022.03.16 |
---|---|
미국주식 세금 때문에 못 하시겠다고요? (1) | 2021.12.15 |
폭등하는 DWAC, 폭락하는 스냅(SNAP) & 페이스북 FB (0) | 2021.10.22 |
유튜브 보고 주식하지 마세요 (카카오, 네이버, 애플, 의사결정트리, 투자원칙, 투자전략, core & settlelight) (0) | 2021.09.14 |
내가 산 주식이 오를지~ 내릴지~ 알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1.09.03 |